깨진 유리창 이론
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깨진 유리창 이론

by 쥐구멍라이프 2024. 1. 25.

깨진 유리창 이론이란, 인간 행동을 들여다보는 창

깨진 유리창

쥐 하~

이번에는 심리학에서 깨진 유리창 이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이론은 사소한 무질서가 큰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주장하는 범죄학적 이론입니다. 이 이론의 배경과 사례, 그리고 심리적 원리와 활용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심리학의 복잡한 세계를 탐구하면서 연구자와 실무자 모두의 상상력을 사로잡은 한 가지 이론은 깨진 유리창 이론입니다. 제임스 Q. 윌슨(James Q. Wilson)과 조지 L. 컬링(George L. Kenning)이 1982년에 개발한 이 이론은 다양한 사회적 맥락에서 인간 행동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깨진 유리창 이론은 1982년 미국의 범죄학자 제임스 윌슨과 조지 켈링이 《월간 대서양》에 공동 발표한 이라는 글에서 처음 소개되었습니다. 이 글은 1969년 스탠퍼드 대학교의 심리학자 필립 짐바라도 가한 실험을 토대로 작성되었습니다. 짐 바르고는 두 대의 중고차를 구매하려 한 대는 뉴욕의 브룽크스에, 다른 한 대는 캘리포니아의 팔로알토에 주차했습니다. 둘 다 보닛을 살짝 열어둔 채로 두었는데, 브룽크스에 놓아둔 차는 10분 만에 배터리와 라디에이터가 털렸고 24시간 이내에 거의 모든 것이 사라졌습니다. 반면 팔로알토에 둔 차는 5일간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짐바라도 가 팔로알토에 둔 차의 유리창을 망치로 깨기 위해 시작하자, 지나가던 사람들이 함께 남의 차를 부수기 위해 시작했습니다.
이 실험은 사소한 무질서의 징후가 사회적 통제의 부재를 나타내고, 그로 인해 더 큰 범죄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윌슨과 켈링은 이를 깨진 유리창의 법칙이라고 명명하고, 이를 사회 정책에 적용하면 범죄를 예방하고 감소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깨진 유리창 이론은 공동체의 질서를 유지하면 범죄가 확대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믿음에 근거합니다. 은유적으로 '깨진 유리창'은 방치와 무질서의 징후를 나타내며 범죄 행위의 촉매제 역할을 합니다. Wilson과 Kenning은 환경의 사소한 문제를 해결하면 질서를 확립하고 더 심각한 범죄를 예방할 수 있다고 제안했습니다. '깨진 유리창'이라는 비유는 깨진 유리창이나 낙서 등 동네의 사소한 문제를 방치하면 더 심각한 범죄가 일어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는 의미를 상징한다.
이 이론에 따르면, 사소한 무질서가 방치되면 범죄가 확산할 가능성이 커진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깨진 유리창 하나를 방치해 두면, 그 지점을 중심으로 범죄가 확산하기 위해 시작한다는 것입니다.

깨진 유리창 이론은 다음과 같은 가정을 기반으로 합니다.

-무질서는 범죄를 유발한다.
-범죄는 무질서를 확산시킨다.
-무질서와 범죄는 서로 강화하는 관계에 있다.

핵심 개념
깨진 유리창 이론의 핵심 개념은 본질적으로 이 이론은 눈에 보이는 무질서의 징후가 범죄 행위가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은 환경에 영향을 미친다고 제안합니다. 작은 문제에 주의를 기울이고 예방함으로써 지역사회는 질서와 합법성의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습니다. 이 이론은 물리적 환경과 인간 행동 사이의 연관성을 강조합니다.

실제 사례
깨진 유리창 이론은 뉴욕시의 범죄 감소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1980년대에 뉴욕의 지하철은 낙서와 범죄로 인해 치안이 형편없었습니다. 그러나 1984년부터 뉴욕시 지하철 청은 낙서를 모두 지우는 것을 목표로 하고, 이를 위해 열차를 세척하고, 낙서한 범인을 체포하고, 낙서 방지용 페인트를 사용하는 등의 조처를 했습니다. 이 결과, 1990년까지 낙서가 사라지고, 지하철에서의 범죄도 많이 감소했습니다. 또한 1990년대에 뉴욕시장이었던 루돌프 줄리아니는 깨진 유리창 이론을 바탕으로 무관용 원칙을 시행했습니다. 이는 경범죄자에게도 엄격한 처벌을 가하는 정책으로, 음주 운전, 낙서, 티켓 무단 탑승, 공공장소에서의 소란 행위 등을 단속했습니다. 이렇게 하면서 줄리아니는 뉴욕의 범죄율을 절반 이상 줄였습니다.

한국에서도 깨진 유리창 이론을 활용한 사례가 있습니다. 2012년 10월, 서울역 부근에 국화꽃 화분으로 꽃 거리를 조성했습니다. 이전에는 노숙인들이 많고 쓰레기가 흩어져 있었던 곳이었는데, 꽃을 심은 후부터 깨끗한 거리가 만들어지기 위해 시작했습니다. 노숙인들도 자발적으로 쓰레기를 줍고, 꽃을 보호하려는 시민들의 모습도 나타났습니다.

짐 바로 도의 스탠퍼드 감옥 실험: 직접적인 적용은 아니지만 Philip Zimbardo의 스탠퍼드 감옥 실험은 환경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었습니다. 시뮬레이션 된 감옥 환경은 빠르게 혼란으로 악화하였으며, 이는 질서 부족이 부정적인 행동에 기여할 수 있다는 개념을 뒷받침합니다.

사회심리학의 개념
깨진 유리창 이론은 사회심리학의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사람들은 주변 환경에 따라 자기 행동을 조절합니다. 깨진 유리창, 낙서, 쓰레기 등의 무질서한 요소는 사회적 통제가 약하고, 규칙을 어겨도 된다는 신호를 보내줍니다. 이때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의 행동을 참고하여 자기 행동을 정당화하려고 합니다. 이를 군중심리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길가에 쓰레기가 없으면 주변 눈치를 보며 쓰레기를 버리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주변에 쓰레기가 많으면, 다른 사람들도 쓰레기를 버렸으니 쓰레기를 버려도 된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이렇게 사소한 무질서가 쌓이면, 사람들은 더 큰 범죄에도 동참하거나 방관하게 됩니다. 이를 방관자 효과라고 합니다.

깨진 유리창 이론을 활용
깨진 유리창 이론을 활용하려면, 사소한 무질서를 방치하지 않고, 신속하게 해결하거나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공공장소에서는 쓰레기통을 적절하게 배치하고, 쓰레기를 주기적으로 수거하고, 낙서나 파손을 방지하고, 깨끗하고 안전한 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사람들에게 사회적 통제와 책임감을 느끼게 하려면, 공동체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시민들의 참여와 의견을 수렴하고, 공공복지와 안전을 향상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렇게 하면, 사람들은 자신이 속한 공동체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무질서와 범죄에 대해 거부감을 표현하게 됩니다.

그 영향에도 불구하고 깨진 유리창 이론은 비판에 직면해 왔습니다. 범죄를 일으키는 복잡한 요인을 지나치게 단순화하고 사회·경제적 문제를 무시한다는 주장도 있다. 비평가들은 또한 질서 집행에 편견이 있어 특정 집단을 표적으로 삼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합니다.

깨진 유리창 이론은 환경, 무질서, 인간 행동 사이의 상호 작용에 대한 귀중한 관점을 제공합니다. 실제 적용이 일부 상황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왔지만, 범죄에 기여하는 더 넓은 사회 경제적 요인을 고려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심리학 영역에서 깨진 유리창 이론은 환경, 장애, 범죄 행위 사이의 상호 작용을 이해하기 위한 강력한 틀 역할을 합니다. 도시 치안 전략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쳤지만, 인간 행동의 복잡성에 기여하는 광범위한 사회적, 경제적 요인을 고려하여 미묘한 이해를 가지고 적용에 접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리가 심리학의 깊이를 계속 탐구함에 따라 깨진 유리창 이론은 사회 질서의 복잡성에 대한 지속적인 토론을 촉발하면서 이 분야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블로프의 개 연구를 통해 발견된 고전적 조건형성  (0) 2024.01.26
게슈탈트 붕괴란  (0) 2024.01.26
MBTI 면접 차별 논란  (0) 2024.01.25
한국인에게 MBTI란  (0) 2024.01.25
트라우마란  (0) 2024.01.24